2025/03 5

20250327 사순 3주 목요일 묵상 강론 루카 11,14-23 [엄마는 이 새벽에 얼큰한 육개장이 괜찮으셨던 걸까?]

⠀[엄마는 이 새벽에 얼큰한 육개장이 괜찮으셨던 걸까?]20250327 사순 3주 목요일 묵상 강론 루카 11,14-23⠀⠀오랫동안 병원에 계신 신부님의 목에 삽입된 관을 교체할 시기가 되었습니다. 보호자가 필요한 일이라 오늘 새벽 인천의 큰 병원으로 왔습니다. 병원 주차장에 차를 대고 길로 나왔습니다. 전화를 해 보니 신부님을 태운 응급차는 계시는 병원에서 아직 출발 전이라고 합니다. 병원 근처 밥집으로 들어갔습니다.⠀주문을 하고 기다리고 있는데 모자로 보이는 두 분이 들어왔습니다. 이 이른 아침에 어머니와 아들이 함께 병원에 오는 건 어떤 사연일까 궁금했습니다. 제 음식이 나오고 제가 몇 술 뜨는 동안 어머니는 내장탕을 주문하셨습니다. 잠시 후 아들이 육개장을 두 그릇 주문했습니다. 이 아침에 두 그..

20250324 사순 3주 월 묵상강론 루카 4,24 - 30 [사랑 때문에도 상처주고 받는 우리는 서로를 위로해 줘야 합니다]

⠀[사랑 때문에도 상처주고 받는 우리는 서로를 위로해 줘야 합니다]20250324 사순 3주 월 묵상강론 루카 4,24 - 30⠀회개를 하는데 있어 가장 먼저 해야하는 중요한 것은 자신의 모습을 제대로 보는 거예요. 자기가 어떻게 살고 있는지 잘 모르면서 자신의 잘못을 성찰한다는 것은 좀 이상한 일이죠.⠀누가 우리에게 그런 사람의 예를 들라고 하면 우리는 쉽게 누군가를 떠올립니다. 하지만 우리 자신을 떠올리는 것은 한참 뒤의 일이죠. 사람이니까 당연한 일입니다. 그래서 충고는 쉬운데 회개는 어렵습니다.⠀화가 나서 예수님을 벼랑에서 떨어뜨리려고 했던 고향 사람들도 두 가지 제대로 보지 못했던 것이 있습니다. 하나는 진리이고 사랑이신 예수님을 제대로 보지 못했다는 겁니다. 다른 하나는 그런 예수님을 알아보지..

20250309 부활 1주간 묵상강론 루카 4,1 - 13⠀[사탄이 갓 세례받으신 예수님을 유혹한 이유]

[사탄이 갓 세례받으신 예수님을 유혹한 이유]20250309 부활 1주간 묵상강론 루카 4,1 - 13⠀ 오늘 예수님은 세례받은 직후 바로 광야에서 유혹을 받으십니다. 궁금해집니다. 왜 하필 사탄은 갓 세례받으신 예수님을 유혹했을까? 세례를 받고 하늘에서 음성을 듣고 의기충천했을 때인데 말입니다.⠀그런데 곧 알게 됩니다. 커다란 은총 속에서 거침없이 걸어갈 때, 바로 그때가 오히려 우리가 무너지기 쉽고 나약해져 있는 시점이라는 것을. 왜냐하면 그렇게 잘 나가는 때의 나는 내가 아닌 다른 것으로 채워져 있는 때이기 때문입니다. 그런 때는 내가 성장하는 속도보다 명성이나 주변의 환경 것들이 더 빨리 성장하는 때이고, 내가 아니라 성령께서 하시는 일이라는 것을 잘 잊게 되는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그런 때 우리..

20250221 연중 6주 토요일 묵상강론 마태 16,13-19 [신앙에 있어 아는 것은 반드시 사랑으로 변한다]

20250221 연중 6주 토요일 묵상강론 마태 16,13-19  [신앙에 있어 아는 것은 반드시 사랑으로 변한다]  오늘 복음에 나오는 예수님과 베드로의 대화는 가톨릭 교회의 반석이자 교도권의 중심인 교황의 역할이 시작되는 순간을 전하고 있습니다. 아마 이 순간에 베드로는 이 역할이 어떤 것인지 또 어떤 희생과 고난의 잔을 마셔야 하는 일인지 몰랐를 겁니다. 아직 예수님은 칭송받고 존경받고 있으며, 자기들은 예수님 근처에서 빛나는 미래를 꿈꾸고 있던 때였습니다. 이렇다는 사실은 이어지는 21절에서 잘 알 수 있습니다. 베드로에게 교회의 반석이 될 것이며 하늘나라의 열쇠를 준다고 하신 예수님은 바로 이어서 21절에서 처음으로 제자들에게 수난과 부활을 예고하십니다. 예루살렘에서 수석 사제들과 율법학자들에게..

20250303 연중 8주 월요일 묵상강론 마르 10,17-27 [ 오늘 하루에 충실한다는 것 ]

20250303 연중 8주 월요일 묵상강론 마르 10,17-27 [ 오늘 하루에 충실한다는 것 ]  오늘 복음에서 우리는 영원한 생명을 위해 한 생을 노력해 온 놀라운 청년을 만나게 됩니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시는 모든 계명들을 이 청년은 이미 잘 지켜왔습니다. 그 말과 태도가 얼마나 진실했으면 예수님께서 이 청년을 사랑스럽게 바라보셨을까요?  그래서 예수님은 그 청년에게 지금까지 잘 해왔으니 마지막 하나 더 노력할 것이 있다고 알려주십니다. 그런데 여기서 청년은 그만 한계를 만나고 맙니다. 그리고 슬퍼하며 떠나갑니다. 오늘 복음을 묵상하며 우리는 이 청년의 깊은 실망과 절망의 마음을 깊이 바라 볼 필요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 때 이 청년의 마음은 지금 그리스도를 따르려는 우리도 똑같이 느끼며 힘들어 하..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