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심이 속삭여 주시는 마음의 그림소리/마르코복음 27

20250127 연중 3주 월 묵상강론 마르 3,22 - 30 [ 권위 그리고 사탄과 싸우는 법 ]

[ 권위 그리고 사탄과 싸우는 법 ]20250127 연중 3주 월 묵상강론 마르 3,22 - 30⠀권위는 어디에서 오는가? 사탄의 권위는 어디에서 오는가? 묵상하게 됩니다.그저께 정말 오랜만에 영화관에 가서 영화를 봤는데 검은 수녀들이라는 영화였습니다. 평화방송국이나 SNS에 신부님들이 후기를 많이 올리길래 보고 싶기도 하고 기대도 되어서 한번 가 봤습니다. 여담이지만 이 영화를 찍을 곳을 섭외하던 촬영팀으로부터 저희 강화도 수도원으로 섭외요청이 오기도 했었습니다. 좀 인연이 있다 할 수 있지요. 구마에 관한 영화를 봤기 때문인지 오늘 복음을 묵상하는 일이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묵상의 주된 질문은 권위는 어디에서 오는가? 사탄의 권위는 어디에서 오는가? 였습니다.⠀권위에 대해서 뜻을 찾자면 신학 철학 정..

20250122 연중 2주 수요일 마르 3,1-6 [예수님의 분노와 슬픔을 묵상하기 위해서는]

20250122 연중 2주 수요일 마르 3,1-6 [예수님의 분노와 슬픔을 묵상하기 위해서는]  ⠀⠀⠀많은 분들이 고해소에서 잘못 고해하셔서 안타까운 내용이 있습니다. 부정적인 감정에 관한 것입니다. 부정적인 감정이 일어난다고 해서 그대로 다죄인 것은아닙니다. 예를 들어 질투, 분노, 시기 같은 부정적인 감정들이 내 안에서 일어난다고 해서 그대로 죄인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그런 감정이 마땅히 일어나야 할 때 일어나지 않는다면 그것이 문제라고 하는 것이 더 마땅할 것입니다. 마치 소설 『이방인』의 한 장면처럼 자기 어머니의 장례식장에 가서 눈물은 커녕 일말의 슬픔도 느끼지 않는 사람을 머리 속에 그려보면 너무나 이상하게 보일 것입니다. 자기 가족을 해친 사람을 보고 미움이나 분노를 느끼지 못하고 연민..

20250121 연중 2주 성녀 아녜스 동정 순교자 기념일 마르 2,23 -28 [ 성장이란 지구가 우주 중심이었다가 변두리 먼지가 되듯 나도 세상의 중심에서 변두리로 내려오는 것 ]

20250121 연중 2주 성녀 아녜스 동정  순교자 기념일 마르 2,23 -28  [ 성장이란 지구가 우주 중심이었다가 변두리 먼지가 되듯 나도 세상의 중심에서 변두리로 내려오는 것 ]  어릴 때부터 저는 집에서 제사를 지낼 때 제사의 순서나 제사상 위 음식의 위치 같은 것들로 집안 어른들이 크게 다투시는 것을 자주 봤습니다. 어린 저에게는 그게 조금 이상해 보였습니다. 그런 것들이 크게 중요하지 않은 소소한 것들로 보였기 때문입니다. 더 이상한 건 정말 해서는 안 되는 것이라고 말씀하시던 것을 어느 해에 갑자기 하기 시작하시는 것이었습니다. 여자는 제사를 시작하면 제사 관련해서 아무것도 하면 안 된다는 것이나, 제사는 12시가 되어야 시작한다거나 하는 것들이었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정말 얼굴을 붉히시..

20250113 연중 1주 월요일 마르 1,14-20 [ 어머니의 세례명 정하기 ]

20250113 연중 1주 월요일 마르 1,14-20 [ 어머니의 세례명 정하기 ]  오늘은 어머니 세례명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오늘 오후 어머니가 톡으로 '교리반에서 이제 세례명을 정하라카데 대모랑.' 라고 메시지를 보내오셨습니다. '언젠가 정말 기적 같은 일이 일어나서 어머니가 세례를 받으신다면 세례명은 무얼로 하시라고 할까?' 고등학교 시절부터 30년을 넘게 생각해 오던 일이었습니다. 그리고 지금 저는 그 기적의 한가운데 있습니다.우선 어머니의 음력 생일에 맞는 양력 생일을 찾고, 그 양력 생일에 해당하는 축일의 성인들을 찾아 몇 분을 알려드렸습니다. 또 어머니가 어떤 삶을 살고 싶으신지 물어보고 그런 삶의 성인을 소개해 드리려 했지만 '몰라, 생각 안해봐서리'라고 하시니, 이 방법은 좀 ..

20241013 연중 28주 주일 묵상강론 마르 10,17-30 [예수님을 떠나는 길, 예수님으로 떠나는 길]

20241013 연중 28주 주일 묵상강론 마르 10,17-30 [예수님을 떠나는 길, 예수님으로 떠나는 길] 우리는 인생의 중요한 기로에 서서 “내가 지금 가는 이 길이 옳은 길일까?”라는 질문을 던지곤 합니다? 우리의 일상은 여러 선택과 결정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우리는 때때로 물질적 성공이, 조금 더 깊은 차원에서 나의 의지가 실현되어야 나의 행복이 보장될 것이라 믿기도 합니다. 이런 것들이 보장되지 않으면 우리는 불안해지고 불만스러워지며 다양한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오늘 복음에서 부자 청년의 이야기는 우리에게 선명한 이미지를 줍니다. 슬퍼하며 어깨를 늘어뜨리고 예수님에게서 떠나가는 청년의 뒷모습이 그려집니다. 자신과 주변에 실망하고 쳐져 있는 우리 자신의 모습이 그 위로 겹쳐 보입..

20240616 연중 11주 주일 묵상강론 마르 4,26 - 34 [지금 씨뿌리는 사람]

[지금 씨뿌리는 사람]우리는 미래의 서로를 위해 지금 씨뿌리는 사람들    20240616 연중 11주 주일 묵상강론 마르 4,26 - 34 [지금 씨뿌리는 사람]20240616 연중 11주 주일 묵상강론 마르 4,26 - 34 [지금 씨뿌리는 사람]#묵상 #기도 #놀이터에서 #묵상하기 #복음 #말씀 #독서 #사랑 #강론 #힐링 #일상 #인스타튠 #하느님 #예수성심 #매일미사 #십자가 #수도회 #천주교 #가톨릭

20240527 연중 8주간 월요일 묵상강론 마르 10,17-27 [질문의 순서를 바꿔보세요]

오늘 복음에는 모든 걸 다 지켰으나 가진 것을 팔아 가난한 이에게 주어라는 예수님의 말씀에 울상이 되어 떠나가는 사람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세상을 살면서 이해할 수 없는 상황이나 어려운 일을 겪을 때 여러분은 어떻게 하시나요? 어떤 때는 맞서 싸우고, 어떤 때는 좌절하고, 또 어떤 때는 모른 척합니다. 그러다 그런 것들 중 하나가 익숙해져 버리는 때에는투사, 패배자, 비겁자라는 별명을 얻게 됩니다. 여러분은 요즘은 어떤 별명으로 살고 계신가요? ... 성경을 읽을 때나 하느님의 일을 생각할 때에도 마찬가지입니다. "나는 나쁜 짓 안했는데 왜 하느님은 이런 일들이 일어나게 하시지?""나는 기도했는데 왜 하느님은 들어주시지 않지?""나는 노력했는데 왜 저런 사람들만 잘 나가지?" 이렇게 알 수도 이해하기도..

20240512 주님승천대축일 묵상강론 마르 16,15-20 [ 헤어진 후 생기는 두 공간 ]

누군가와 헤어지면 우리에게는 두 가지 공간이 새롭게 생깁니다. 사랑하는 사람일수록 그 공간은 더 크고 더 특별합니다. 그 공간에서 많은 일들이 일어나고, 우리는 거기서 일어나는 일들에 의해 변화합니다. 성장하기도 하고 망가지기도 합니다. 다시 만날 수 없는 사람과의 헤어짐도 그렇고 다시 만나기를 기다리며 하는 헤어짐도 마찬가지입니다.  첫 번째 공간은 내 안에 있던 그 사람의 자리입니다. 누군가와 헤어지면 내가 의지하거나 내가 의지가 되어 나를 나누어 주었던 그 공간이 비게 됩니다. 그리고 그 공간 안에서 여러 감정이 일어나기도 하고 새로운 생각들이 떠오르기도 하며 뜻밖의 사람들이 드러나기도 합니다. 두 번째 공간은 헤어진 그 사람과 내가 멀어지면서 생기는 둘 사이의 공간입니다. 이 공간 안에서도 여러 ..

20240109 연중 1주간 화요일 묵상강론 마르 1,21-28 [ 내가 만나는 연중시기의 두 가지 의미 ]

20240109 연중 1주간 화요일 묵상강론 마르 1,21-28 [ 내가 만나는 연중시기의 두 가지 의미 ] 성탄시기와 공현 대축일을 지나와 우리는 어제 주님 세례 축일부터 연중 시기를 시작하고 있니다. 오늘은 연중 제 1주간 화요일입니다. 연중시기가 몇 주까지 있는지 아시나요? 34주간까지 있습니다. 가톨릭 전례력에서 연중 시기는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는데 각각 성탄시기와 부활시기에서 이어 집니다. 저는 이 시기 동안 기도할 때에 수도생활을 하며 조금씩 알게 된 두 가지 연중시기의 의미를 기억합니다. 첫째, 연중시기는 소박하지만 차근차근 성장해 가는 시기입니다. 연중 시기가 시작 되기 전에는 갖가지 축일들이 많이 있습니다. 한 참 숨가쁘게 달리다 보면 어느 새 연중시기로 들어가게 됩니다. 저는 이 연중..

20230608 연중 9주 목 마르 12,28 - 34 ‘사는 사람과 방문하는 사람’

- 사는 사람과 방문하는 사람 - 광성보는 매우 역사적인 곳이자 강화도의 유명한 관광지예요. 한 켠에 바다를 끼고 이어 있는 유적지를 걸을 수 있는 곳입니다. 제가 사는 신학원에서 차로 10분도 안되는 거리에 있습니다. 가끔 산책이나 조깅의 반환점으로 삼는 곳이지요. 논밭을 가로지르며 오가는 길이 참 아름답습니다. 몇 일 전 오래 알던 수녀님들이 오셔습니다. 함께 그 곳을 구경하기로 했습니다. 조금 늦게 출발한 저는 먼저 간 그분들을 따라잡으려 혼자 광성보의 언덕길을 올랐었습니다. 길에는 많은 사람들이 삼삼오오 웃으며 걷고 있었습니다. 햇볕 속에 웃는 소리가 이제 코로나가 끝났어, 여름이 오고 있어 하고 속삭이는 것 같았습니다. ... “어서 와, 무슨 사진을 걸음마다 찍니?” 할머니와 아빠와 함께 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