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 5

20250127 연중 3주 월 묵상강론 마르 3,22 - 30 [ 권위 그리고 사탄과 싸우는 법 ]

[ 권위 그리고 사탄과 싸우는 법 ]20250127 연중 3주 월 묵상강론 마르 3,22 - 30⠀권위는 어디에서 오는가? 사탄의 권위는 어디에서 오는가? 묵상하게 됩니다.그저께 정말 오랜만에 영화관에 가서 영화를 봤는데 검은 수녀들이라는 영화였습니다. 평화방송국이나 SNS에 신부님들이 후기를 많이 올리길래 보고 싶기도 하고 기대도 되어서 한번 가 봤습니다. 여담이지만 이 영화를 찍을 곳을 섭외하던 촬영팀으로부터 저희 강화도 수도원으로 섭외요청이 오기도 했었습니다. 좀 인연이 있다 할 수 있지요. 구마에 관한 영화를 봤기 때문인지 오늘 복음을 묵상하는 일이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묵상의 주된 질문은 권위는 어디에서 오는가? 사탄의 권위는 어디에서 오는가? 였습니다.⠀권위에 대해서 뜻을 찾자면 신학 철학 정..

20250122 연중 2주 수요일 마르 3,1-6 [예수님의 분노와 슬픔을 묵상하기 위해서는]

20250122 연중 2주 수요일 마르 3,1-6 [예수님의 분노와 슬픔을 묵상하기 위해서는]  ⠀⠀⠀많은 분들이 고해소에서 잘못 고해하셔서 안타까운 내용이 있습니다. 부정적인 감정에 관한 것입니다. 부정적인 감정이 일어난다고 해서 그대로 다죄인 것은아닙니다. 예를 들어 질투, 분노, 시기 같은 부정적인 감정들이 내 안에서 일어난다고 해서 그대로 죄인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그런 감정이 마땅히 일어나야 할 때 일어나지 않는다면 그것이 문제라고 하는 것이 더 마땅할 것입니다. 마치 소설 『이방인』의 한 장면처럼 자기 어머니의 장례식장에 가서 눈물은 커녕 일말의 슬픔도 느끼지 않는 사람을 머리 속에 그려보면 너무나 이상하게 보일 것입니다. 자기 가족을 해친 사람을 보고 미움이나 분노를 느끼지 못하고 연민..

20250121 연중 2주 성녀 아녜스 동정 순교자 기념일 마르 2,23 -28 [ 성장이란 지구가 우주 중심이었다가 변두리 먼지가 되듯 나도 세상의 중심에서 변두리로 내려오는 것 ]

20250121 연중 2주 성녀 아녜스 동정  순교자 기념일 마르 2,23 -28  [ 성장이란 지구가 우주 중심이었다가 변두리 먼지가 되듯 나도 세상의 중심에서 변두리로 내려오는 것 ]  어릴 때부터 저는 집에서 제사를 지낼 때 제사의 순서나 제사상 위 음식의 위치 같은 것들로 집안 어른들이 크게 다투시는 것을 자주 봤습니다. 어린 저에게는 그게 조금 이상해 보였습니다. 그런 것들이 크게 중요하지 않은 소소한 것들로 보였기 때문입니다. 더 이상한 건 정말 해서는 안 되는 것이라고 말씀하시던 것을 어느 해에 갑자기 하기 시작하시는 것이었습니다. 여자는 제사를 시작하면 제사 관련해서 아무것도 하면 안 된다는 것이나, 제사는 12시가 되어야 시작한다거나 하는 것들이었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정말 얼굴을 붉히시..

20250113 연중 1주 월요일 마르 1,14-20 [ 어머니의 세례명 정하기 ]

20250113 연중 1주 월요일 마르 1,14-20 [ 어머니의 세례명 정하기 ]  오늘은 어머니 세례명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오늘 오후 어머니가 톡으로 '교리반에서 이제 세례명을 정하라카데 대모랑.' 라고 메시지를 보내오셨습니다. '언젠가 정말 기적 같은 일이 일어나서 어머니가 세례를 받으신다면 세례명은 무얼로 하시라고 할까?' 고등학교 시절부터 30년을 넘게 생각해 오던 일이었습니다. 그리고 지금 저는 그 기적의 한가운데 있습니다.우선 어머니의 음력 생일에 맞는 양력 생일을 찾고, 그 양력 생일에 해당하는 축일의 성인들을 찾아 몇 분을 알려드렸습니다. 또 어머니가 어떤 삶을 살고 싶으신지 물어보고 그런 삶의 성인을 소개해 드리려 했지만 '몰라, 생각 안해봐서리'라고 하시니, 이 방법은 좀 ..

20250106 주님공현대축일 후 월요일 마태 4,12-17.23-25 [ 지금 내 삶에서 일어나고 있는 기적]

20250106 주님공현대축일 후 월요일 마태 4,12-17.23-25 [지금 내 삶에서 일어나고 있는 기적] ⠀많은 학자들이 공통되게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에 따르면 인간은 좋은 것보다 좋지 않은 것에 대해 더 큰 영향을 받고 오래 기억한다고 합니다. 좋은 일들은 그렇지 않은 일들보다 빨리 잊힌다는 것입니다. 이런 연구결과가 사실인지는 깊이 생각해 보지 않더라도, 조금만 우리 삶을 돌아보면 알 수 있습니다. 부모님에게 받은 사랑과 은혜를 우리는 자주 잊습니다. 함께 사는 가족이나 형제의 사랑도 마찬가지입니다. 사람의 일들에 대해서도 이러니 하느님과의 일에서는 더 말할 것도 없죠.⠀기도 안에서 돌아보기만 하면 금방 하느님께 받은 은혜와 감사들이 잘 떠오르지만, 하루를 사는 동안 이런 저런 일에 신경을 ..